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여러분들이 액션 MOPRG를 개발하는
조직에서
'대전 격투 게임의 손맛을 느끼게 하라'
라는 게임 방향성을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방향성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액션캔슬, 커맨드 입력 등의 많은 기능들이
머릿속에 떠오를 것이다.
이런 생각들은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에
의거해 내려진 결론일 가능성이 높다.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를 즐긴 기획자는
'슈퍼 캔슬'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수 있고,
<철권> 시리즈를 즐긴 기획자라면 '저스트
프레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아니면 자신의 경험이 아니라 격투 게임을
즐겼던 대중들의 평가를 토대로
특정 기능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머리 속에 떠오르는 기능들에
대해 검토한 뒤
게임에 사용할 기능을 결정하는 방법을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라고 한다.
게임의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관이
반영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능정리를 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또한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방법은
위험하지만 효율적이기에
많은 기능들이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도출된다.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 장점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는 기능 도출이
빠르고
동기부여가 강하게 된다는 점이 큰
강점이다.
게임 장르나 다른 게임들을 분석할
필요도 없고,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끄집어내 정리하면 된다.
기획자가 도출된 기능들을 잘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분석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기획자들이 자신이 즐겼던 게임과 비슷한
게임을 만들고 싶어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주관으로부터 도출된 기능은 기획자가
호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기획자가 해당 기능을
기획 할 때
동기부여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기획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대전 격투 게임 마니아가 '대전 격투 게임의
손맛을 느끼게 하라'라는
방향성을 위한 기능을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기획자는 자신이 즐겼던 게임을 떠올리며
기능을 정리할 때 신이 날 것이며,
대전 격투 게임에 대한 지식도 많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어쩌면 자신의 게임에 넣고 싶은 기능이
너무 많아서 곤란할 수도 있다.
개발하는 게임과 유사한 게임을 즐긴
사람이나 개발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기획자로 채용하려고 하는 것과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방법에 있어
그런 기획자가 열정적으로 양질의 기능 정리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어느정도 관련이 있다.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방법 - 단점
반면에 이 방법의 한계도 명확하다.
경험과 지식의 수준이 높지 않으면
기능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든 예시의 반대 경우로, 대전 격투
게임을 즐기지 않고
관련 경험이나 지식이 많이 없는 시스템
기획자가
같은 방향성을 달성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런 기획자는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를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이렇듯 기획자의 능력에 따라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방법의 결과는 천차만별이다.
예측하기 힘든 품질도 문제지만, 객관성이나
대중성이 결여된 기능 정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개인의 경험이나 지식은 유한하며, 고집이
들어가게 되면
올바르지 않은 결정을 내리게 될 수 있다.
게임에 필요한 기능은 게임의 방향성에
적합해야 하는 것이지,
기획자 개인의 취향에 맞추는 것이 아니다.
기능 자체는 가치중립적이지만, 기능을 고르는
것은 가치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슈퍼 캔슬'과 '저스트 프레임 입력'
사이의 우열을 판단할 수 없으며,
기획자가 기능을 선택했기 때문에 게임에
반영되는 것이다.
따라서 객관적인 가치 판단이 필요한데,
이를 실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 방법 - 보완
주관에 따른 기능 정리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기획자나 개발 조직 내의 다른 작업자와
협의를 하여 같이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과 의견을 교류하고 머리를 맞대는
것을 통해
개인 능력의 한계를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다.
자신의 주관에 따라 도출된 기능에 대해 다른
사람과 논의를 할 때는
다음의 사항을 점검하도록 한다.
- 내가 제안한 기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며, 장단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어떤 것이며, 그 근거는 무엇인가?
- 다른 사람이 제안한 기능은 대안인가, 아니면 보완책인가?
이 논의는, 같이 이야기하는 사람을
설득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가 제안한 기능이 더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도 없다.
이런 논의에서는 결론을 내려줄 결정자를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은데,
각각 장단점을 갖는 가치들이 부딪히는 경우,
선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시스템 기획자 중에 한 명을 결정자로
정해둔 다음에 논의를 시작하라.
민주주의적인 논의나 만장일치를 통한
결정은 시간이 오래 소모되는데,
항상 올바른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도 아니다.
참고 및 출처
|